2025/07/05 3

반려동물과 함께 했던 사진을 다시 꺼내며 – 첫 포토북 제작기

어느 날, 사진첩을 열어보다슬픔은 어떤 순간에 문득 얼굴을 드러낸다.정리도 없이 쌓여 있던 사진첩을 우연히 열어본 그날이 그랬다.의도한 건 아니었다.하지만 그 아이가 마지막으로 찍힌 사진이 스크롤 중간에 떠올랐을 때,나는 화면을 멈춘 채 한참을 그 자리에 멈춰버렸다.사진 속 그 아이는 눈을 반짝이고 있었다.생기 넘치던 그 표정은, 내 기억 속에서도 흐릿해지고 있었던 그 모습이었다.그제서야 나는 깨달았다.기억은 마음속에 담아둘 수 있지만,시간이 지나면 흐려질 수밖에 없다는 걸.그날 밤 나는 결심했다.이 사진들을 그냥 흘려보내지 말자고.그래서 포토북을 만들기로 했다.그 아이와 함께한 시간들을,내 손으로, 내 방식으로, 한 권의 책으로 묶어보자고. 사진을 고르며 마주한 그날들포토북 제작을 위한 첫 단계는 사진..

반려동물 장례 2025.07.05

작은 방에 남겨진 기억으로 작업 공간을 만들다

익숙한 공간이 낯설어진 이유방 하나가 비었다.그 아이가 떠난 후부터 그 방은 문이 닫힌 채로 남겨져 있었다.창문을 열면 바람이 들어왔지만, 나는 그 방에 들어가지 않았다.문을 열면 익숙한 냄새가 떠올랐고,작은 소리에도 그 아이가 달려오던 모습이 선명하게 떠올랐기 때문이다.언젠가는 정리해야 한다는 걸 알고 있었다.하지만 막상 손을 댈 용기가 나지 않았다.내가 움직이는 순간, 그 아이의 흔적이 사라져버릴 것 같았고,방에 남은 모든 것들이 그 아이와 나 사이를 연결해주는 마지막 끈처럼 느껴졌다.그 방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었다.거기에는 함께했던 계절과, 나눈 시선과,밤마다 들려오던 숨소리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나는 그 공간을 볼 때마다, 마치 아직도 그 아이가 그곳에 머무르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졌다.그래서..

반려동물 장례 2025.07.05

그 아이가 떠난 이후, 내가 나를 돌보는 방식

아침 7시, 밥그릇 앞에 앉지 않게 된 손아침이 오면 가장 먼저 했던 일은 사료를 푸는 일이었다.물그릇을 갈고, 밥을 담고, 간식을 덜어두며 그 아이의 하루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의 하루도 시작되곤 했다.이제는 그 밥그릇이 비어 있다. 물도 마르지 않고, 간식은 줄 필요도 없다.무심히 지나치려 해도 손이 먼저 기억한다.습관처럼 부엌으로 향하다가 문득 멈춘다. 그 아이가 없다는 사실을 아침마다 새로이 체감한다.사료 봉지를 여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아침은, 조용해서 더 아프다.그리고 나는 그 조용한 아침 속에서, 나를 위한 시간을 어떻게 채워야 할지 막막해졌다.그 아이를 돌보던 손을, 이제는 나에게 다시 돌려야 하는 시점이었다. 무너진 루틴 속에서 내가 무너졌다한참 동안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일어날 이유..

반려동물 장례 2025.07.05